분류 전체보기 3660

공문이나 논문에서 두개 이상의 항목 구분 순서

공문이나 논문에서 두개 이상의 항목 구분 순서 어문 규범에는 질문하신 문제에 대하여 따로 규정된 바가 없습니다. 행정자치부의 사무관리규정 시행규칙에 보면 공문서의 구성 중 항목의 구분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1. 첫째항목의 구분은 1., 2., 3., 4.‥‥‥로 나누어 표시한다. ..

'반듯이 앉다'가 맞나요, '반드시 앉다'가 맞나요?

'반듯이 앉다'가 맞나요, '반드시 앉다'가 맞나요? 허리를 바로 펴고 앉는 것은 '반듯이 앉다'가 맞습니다. '반드시'와 '반듯이'는 둘 다 쓸 수 있는 말인데, "내일 반드시 오너라."처럼 '틀림없이 꼭'이라는 뜻일 때는 '반드시'로 쓰는 것이 맞고, "허리를 반듯이 펴고 앉아라."처럼 '기울거나 굽지 않고 바..

'그러지 말아요'와 '그러지 마요' 중 맞는 것은?

'그러지 말아요'와 '그러지 마요' 중 맞는 것은? 그러지 마요'가 맞습니다. '그러지 마요'의 '마요'는 '말다'의 어간 '말-'에 어미 '-아'가 붙어 '마'가 된 다음 보조사 '요'가 붙은 것입니다. '말다'는 어미 '-아, -아라'가 붙으면 받침의 'ㄹ'이 탈락해 '마, 마라'가 됩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 제18항 [붙임]에 '..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깨끗이, 똑똑히, 큼직이, 단정히, 반듯이, 가까이 등의 경우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잘 안 됩니다. 원칙은 없지만 구별하기 쉬운 방법은 '~하다'가 붙는 말은 '~히'를, 그렇지 않은 말은 '~이'로 쓰면 됩니다. 그러나 다음에 적어 ..

'고마워요'와 '고마와요'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고마워요'와 '고마와요'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고마워요'가 맞습니다. 모음 조화에 따르면 어간 'ㅏ, ㅗ'에 어미 '-어(었)'가 결합하면 'ㅏ, ㅘ'로 적어야 하나 맞춤법 규정 제18항에서 "용언들의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라고 하면서 어간의 끝 'ㅂ' 이 'ㅜ'로 바뀔 때는..

[스크랩] 생명력이 있는 시를 쓰려면(신경림 문학회고록)

1. 시인은 명확하고 힘있게 말하는 사람 영국의 계관시인 워드워즈가 친구인 코울리지와 함께 서정시집을 냈습니다. 18세기 초에 나온 초판에서는 이런 말을 안했고, 재판을 내면서 그 서문(序文)에서 '시인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에 대해서 언급했습니다. 그에 따르면 '시란 결국 남에게 하는 얘기다...

14. 문학 산책 2006.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