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는 이웃과 정을 나누는 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다른 얼레빗 모두 보기 단기 4344(2011). 12. 22. “동지는 좋은 날이라 양기운(陽氣運)이 생기기 시작하는구나 특별히 팥죽 쑤어 이웃과 즐기리라 새 달력 널리 펴니 내년 절기 어떠한가 (중략) 사립문 닫았으니 초가집이 한가하다 짧은 해 저녁 되니 자연히 틈 .. 16. 알곡 창고 2011.12.23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15세: 지학(志學), 성동(成童) 20세: 약관(弱冠), 약령(弱齡), 약년(弱年), 방년(芳年), 방령(芳齡), 묘령(妙齡), 묘년(妙年) 30세: 이립(而立) 32세: 이모지년(二毛之年), 이모(二毛) 40세: 불혹(不惑) 50세: 지명(知命) 51세: 망륙(望六) 60세: 이순(耳順) .. 16. 알곡 창고 2011.11.08
식약동원(食藥同源) 한의학에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이란 말이 있는데 이는 “먹거리와 약은 그 뿌리가 같다.”라는 뜻입니다. 곧 한의학에서는 병을 치료하고 건강을 지키는 데 있어서 약에 못지않게 어떤 음식을 어떻게 먹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 것이지요. 이 세상에 있는 모든 것들은 각자가 가진 기운 곧 생명력이 .. 16. 알곡 창고 2011.10.05
명심보감(明心寶鑑) 명심보감(明心寶鑑) home back 천자문(千字文) 사자소학(四字小學) 고려 충렬왕 때의 문신(文臣) 추적(秋適)이 금언(金言), 명구(名句)를 모아 놓은 책. 원래 19편으로 되어 있었으나 후에 어떤 학자가 증보(增補), 팔반가(八反歌), 효행(孝行), 염의(廉義), 권학(勸學) 등 5편을 더하여 총 24편으로 구성되어 있.. 16. 알곡 창고 2011.09.09
사자소학(四字小學) 사자소학(四字小學) Home Back 효행(孝行) 부부/형제(夫婦/兄弟) 사제(師弟) 붕우(朋友) 수신(修身) 천자문(千 字 文) 명심보감(明心寶鑑) 효행(孝行) 父 生 我 身 父生我身(부생아신)하시고 : 아버지는 내 몸을 낳으시고 아비 부 날 생 나 아 몸 신 母 鞠 吾 身 母鞠吾身(모국오신)이로다 : 어머니는 내 몸을 .. 16. 알곡 창고 2011.09.09
千字文(천자문) 千字文(천자문) Home Back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많은 천자문을 참고하여 잘못된 점이나 미비한 곳을 개인적으로 약간의 수정을 하였습니다. 사자소학(四字小學) 명심보감(明心寶鑑) 天 地 玄 黃 天地玄黃(천지현황) : 하늘은 위에 있으니 그 빛이 검고 그윽하며, 땅은 아래 있으니 그 빛이 누르다. 하늘 .. 16. 알곡 창고 2011.09.09
[스크랩] 2011년 부동산 취득세율표 정리 2011년 부동산 취득세율표 정리 ★ 2011년 부동산 취득세 세율표 정리 * 2011년부터 세법개정으로 취득세.등록세가 통합되어 취득세로 변경되었음 구분 2011년 취득세 총부담액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특세 취득가액의 취득세액의10% 취득세액의5% 매매 표준세율 4.60% 4.00% 0.40% 0.2% 주택외건물(상가등) 4.60% 4.00.. 16. 알곡 창고 2011.09.08
자산별 양도소득세율표 조회 3794 |추천 0 | 2011.05.19. 10:44 양도소득 세율표 및 양도 소득세 자동 계산 (홈텍스) 양도 소득세 자동 계산 http://www.hometax.go.kr/guide_yd/gageia72.jsp [자산별 양도소득세율표] 구 분 2010~2011년 양도세율 -토지 -건물 -부동산에 관한 권리 등 기 자 산 보 유 기 간 2년 이상 과세표준 세율 누진공제 1,200만원이하 .. 16. 알곡 창고 2011.09.08
답바지 음식 신랑댁에서 보내시는 답바지 음식은 일반적인 신부댁에서 신랑댁으로 보내는 이바지처럼 정형화 되어있는것은 없답니다. 요즘은 양가에서 서로 상의하여 번거로운 절차를 피하여 간소화 하려는 경향도 있답니다. 단지, 신부댁에서 이바지를 보내오셨다라면, 비슷한 음식의 구색이면 제일 좋다고 볼.. 16. 알곡 창고 2011.05.14
경락에 관한 상식 1. 경락대금의 배당에 관한 법률 Ⅰ. 배당금액 ; 입찰보증금 몰수금액 + 경락대금 + 경락대금 이자 및 지연이자 Ⅱ. 최우선공제 ; 집행비용(민소법 657조 1항, 민소법 728조) 1. 경매신청서 등 첨부 인지대 2. 경매신청서 서기료 3. 경매신청기입등기 등록세 4. 송달료 5. 등본수수료 6. 감정평가비용 7. 현황.. 16. 알곡 창고 2011.05.14
효도관련 고사성어 [노래지희(老萊之戱)]늙을 노(로)/명아주 래(내)/갈 지/희롱할 희,탄식할 호/ 70세에 어린아이 옷을 입고, 어린애처럼 재롱을 떨어 늙은 부모를 위안하였다는 노래자의 효도 (자식(子息)이 나이가 들어도 부모(父母)의 자식(子息)에 대(對)한 마음은 똑같으니 변(變)함없이 효도(孝道)를 해야 한다는 말) 유.. 16. 알곡 창고 2011.05.07
인생을 즐겁게- 차분해지는 법 1. 해주고 나서 바라지 말자. 2. 스트레스를 피하지 말고 그대로 받아들이자. 3. 할일을 내일로 미루지 말고 지금 시작해 놓자. 4. 울고 싶을땐 소리내서 실컷 웃자. 5. 숨을 깊고 길게 들이마시고 내쉬어 보자. 6. 잠들기 바로 직전에는 마음과 몸을 평안히 하자. 7. 상처받는 것을 두려워 하지 말자. 8. 하고.. 16. 알곡 창고 2011.03.12
인생을 즐겁게- 활기차지는 법 1. 오디오타이머를 이용해서 자명종 대신 음악으로 잠을 깬다. 2. 기상 후엔 바로 생수를 한 잔 마신다. 3. 아침 식사를 거르지 않는다. 4. 즐거운 상상을 많이 한다. 5. 고래고래 목청껏 노래를 부른다. 6. 편한 친구와 만나 툭 터놓고 수다를 떤다. 7. 꾸준히 많이 걷는다. 8. 햇빛이랑 장미꽃이랑 친하게 지.. 16. 알곡 창고 2011.03.12
인생을 즐겁게- 당당해지는 법 1. 두려움을 버려라. 2. 열정을 가져라. 3. 분석하고 평가하라. 4. 독립적 사고를 하라. 5. 현실에 만족하라. 6. 환하게 웃어라. 7. 무언가에 푹 빠져라. 8. 한순간도 자신을 의심하지 마라. 9. 허리를 꼿곳이 펴라. 10. 당신이 믿는 것에 단호하라. 11. 부끄러움 없는 야심으로 밀고 나가라. 12. 능력을 발굴하고 .. 16. 알곡 창고 2011.03.12
인생을 즐겁게-여유로워지는 법 1. 30분 일찍 일어나라. 2. 지하철을 놓쳐라. 3. 회사에 혹은 집에 휴가계를 내라. 4. 자가 운전 대신 대중교통을 이용하라. 5. 천천히 걸어라. 6. 말한 만큼의 세배를 들어라. 7. 벌어지지 않은 상황에 대해 겁내지 마라. 8. 주는 것 자체를 즐겨라. 9. 한걸음 물러서라. 10. 목적지를 정하지 않고 걸어보라. 11. .. 16. 알곡 창고 2011.03.12
달동네의 어원 달동네의 어원 2003년 10월 21일 (화) 16:29:34 조혁연 hycho@jbnews.com 도시외곽의 변두리 미개발 지역을 ‘달동네’라고 한다. 서울 봉천동 일대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달동네다. 좁은 골목, 다닥다닥 붙은 집들 그리고 공중변소 등의 이미지가 떠오른다. 어디서 온 말일까. 논리라면 ‘해동네’, .. 16. 알곡 창고 2011.02.05
[스크랩] ♬새야새야 파랑새야 / 조수미♬ 새야새야 파랑새야/조수미 전봉준 생가터 새야 새야 파랑새야 / 작시 : 전래민요 작곡 : 편곡:채동선 노래 : 조수미 새야 새야 파랑새야 녹두 밭에 앉지 마라 녹두 꽃이 떨어지면 청포 장수 울고 간다 새야 새야 파랑새야 우리 논에 앉지 마라 새야 새야 파랑새야 우리 밭에 앉지 마라 아랫녘 새는 아래.. 16. 알곡 창고 2011.01.18
[스크랩] 녹두를 이용한 민간요법들 녹두를 이용한 민간요법들 녹두는 종기를 낫게 해주고 독을 없애며 간(肝)을 강하게 해준다. 눈을 맑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키며 위를 이롭게도 한다. 계절적인 질병과 약중독도 없앤다. 녹두는 식사로도 유익하고 약용으로도 많이 쓴다. 삼복 더위에 소, 말 등 가축들이 피로해 하고 열병이 날 때 생 녹.. 16. 알곡 창고 2011.01.18
[스크랩] 북한 민간요법 - 녹두잎 생즙으로 급성 소장염 치료 북한 민간요법 - 녹두잎 생즙으로 급성 소장염 치료 ◦ 학 명 : 콩과 Phasolus radiatus L. ◦ 생약명 : 녹두엽 綠豆葉 (녹두의 잎) ◦ 적응증 : 급성소장염 ◦ 효 능 : 吐瀉, 斑疹(가려움을 동반하는 반점), 疔瘡(헌 부위), 疥癬(옴과 버짐) 등 을 치료 용법 ◦ 신선한 녹두잎을 깨끗이 씻어 물을 조금 넣고 짓찧어 .. 16. 알곡 창고 2011.01.18
교훈이 되는 고사성어 교훈이 되는 고사성어 1. 家和萬事成(가화만사성) : 가정이 화목하여야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진다. 2. 自勝者强(자승자강) : 자신을 이기는 자가 강한 자다. 3. 一念通天(일념통천) : 생각을 모으면 어떤 어려운 일도 이룰 수 있다. 4. 仁者無敵(인자무적) : 어진 사람에게는 적이 없다. 5. 仁者無憂(인자무우) : 어진 사람에게는 근심,걱정이 없다. 6. 愛信同(애신동) : 사랑, 믿음, 협동 7. 念成執一(염성집일) : 한가지 일에 생각을 모으면 이룩한다. 8. 思判行省(사판행성) : 생각하고 판단하고 행동하고 반성하라. 9. 染常淨(염상정) : 더러운 곳에 있더라도 항상 깨끗하여라. 10. 人一己百(인일기백) : 남들이 한번 할 때 자신은 백번한다. 11.正道善行(정도선행) : 바른길을 가고 선.. 16. 알곡 창고 2011.01.03
혼자보기 아까운 명언글 혼자보기 아까운 명언글 모든 괴로움은 어디서 오는가 ? 자기만 생각하는 이기심에서 온다 모든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 남을 먼저 생각하는 이타심에서 온다 혼자 있을 때는 자기 마음의 흐름을 살피고 여럿이 있을 때는 자기 입의 망을 살펴라 분노와 미움을 가지고는 싸움에서 이긴다 해도 승리가 .. 16. 알곡 창고 2010.12.25
좋은 친구 많아야 장수한다 좋은 친구 많아야 장수한다. 인생 100세 시대다. 과학의 진보가 가져다준 선물이지만 사람에 따라서는 끔찍한 비극이 될 수 있다. 운 좋게 60세에 퇴직한다 해도 40년을 더 살아야 한다. 적당한 경제력과 건강이 받쳐주지 않으면 그 긴 세월이 신산(辛酸)의 고통이 될지도 모른다. 그러나 돈과 건강을 가.. 16. 알곡 창고 2010.12.25
파격적인 자기 소개서 쓰기 자기소개서 회사나 기관에 입사하고자 하는 사람은 누구나 이력서와 함께 자기소개서를 제출한다. 그 형태는 천차만별이다. 이력서나 자기소개서만 잘 쓴다고 인생이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람과 만나는 첫 대면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다음은 어떤 조직에 입사하기 위.. 16. 알곡 창고 2010.12.07
[스크랩] 육십갑자 연대표 육십갑자 연대표 甲子(갑자)1864,1924, 1984, 2044 甲申(갑신) 1884, 1944, 2004 甲辰(갑신) 1904, 1964, 2024 乙丑(을축)1865,1925, 1985, 2045 乙酉(을유) 1885, 1945, 2005 乙巳(을사) 1905, 1965, 2025 丙寅(병인)1866,1926, 1986, 2046 丙戌(병술) 1886, 1946, 2006 丙午(병오) 1906, 1966, 2026 丁卯(정묘)1867,1927, 1987, 2047 丁亥(정해) 1887, 1947, 2007 丁未.. 16. 알곡 창고 2010.11.16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연령(年齡)을 나타내는 한자어(漢字語): 15세: 지학(志學), 성동(成童) 20세: 약관(弱冠), 약령(弱齡), 약년(弱年), 방년(芳年), 방령(芳齡), 묘령(妙齡), 묘년(妙年) 30세: 이립(而立) 32세: 이모지년(二毛之年), 이모(二毛) 40세: 불혹(不惑) 50세: 지명(知命) 51세: 망륙(望六) 60세: 이순(耳順) 61세: 화갑(華甲), 환갑.. 16. 알곡 창고 2010.10.07
[스크랩] 까마중 무엇인가 ? 신장과 방광의 탈을 다스리는 까마중 ▶ 복수빼고 암세포 억제 까마중은 가지과에 딸린 한해살이풀로 산이나 집 주변, 묵은 밭, 개울가 같은 데서 흔히 자란다. 까맣게 익은 열매가 중머리를 닮았다 하여 까마중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 까마중의 다른 이름은 깜뚜라지, 깜또라지, 용규(龍葵), 까마종이.. 16. 알곡 창고 2010.09.02
[스크랩] ?부름말에 대한 올바른 예법(禮法) 부름말에 대한 올바른 예법(禮法) 세월이 아무리 많이 흐르고 세상이 아무리 엎치락 뒤치락 바뀌고 변해도 절대로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 바로 부모형제와 여러 가족들의 부름말 이다. 앞으로 부름말에 대해서 몇 가지 쓰고자 한다. 글쓴이가 20대 초반때쯤 그러니까 지금으로부터 거의 30여년전 일이.. 16. 알곡 창고 2010.07.12
[스크랩] Re: 호칭에 대하여(가정언어) 호칭에 대하여(가정언어) 부를 때 사용하는 말이 부름말이고
관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말이 걸림말이다.

아버지.어머니 - 아들과 딸이 부르는 부름말
아버님.어머님 - 며느리가 부르는 부름말
아들이라는 말은 바른말이고 아드님이라는 말은 틀린말이다.
딸.. 16. 알곡 창고 2010.04.30
생선, 과일, 푸성귀 세는 말 생선, 과일, 푸성귀 세는 말을 아시나요 우리 겨레의 삶에는 원래 토박이말로 된 것들을 써왔습니다. 하지만, 그런 말들은 이제 한자말과 영어에 떠밀려 설 땅을 잃어버렸습니다. 특히 생선이나 푸성귀(채소)를 세는 단위를 일컫는 말들이 이제 겨우 재래시장에나 남아 있습니다. 그것들을 한번 알아볼.. 16. 알곡 창고 2010.01.11
실록으로 본 조선인의 기인들 실록으로 본 조선인의 기인들 ***((( 먼저!-표시하기-클릭!-잊지 마세요.)))*** *<實錄으로 본 朝鮮의 奇人들>* 1 아홉번 과거시험에모두 장원급제! 한국사의 천재 이율곡 !__ 한국의 역사상 현인의 경지에 근접한 인물을 꼽으라면 관점의 차이는 있겠지만 율곡 이이 선생을 꼽는데 누구도 주저하지는 .. 16. 알곡 창고 2010.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