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요 ”의 올바른 쓰임 “ -오/-요 ”의 올바른 쓰임 받침이 없는 어간 뒤에는 ‘-오'를 쓰고, 받침이 있는 어간 뒤에는 ‘-이오'를 씁니다. 받침이 있는 어간 뒤에‘-요'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은‘-이오'가 줄어든 말입니다. 다만, 높임을 나타내는 '요'와의 결합형은 '이에요', '아니에요', '세요'입니다. 높임을 나타낼 때..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띄어쓰기 띄어쓰기 다음의 문장의 올바른 띄어쓰기와 그 기준은 포도주 같아서/안개 같아서/불 같아서/올빼미 같아서/꿀송이 같아서/햇볕 같아서 포도주 같아서/안개 같아서/올빼미 같아서/꿀 송이 같아서/햇볕 같아서/해바라기 씨 같아서/고수 씨 같아서’와 같이 띄어 씁니다. 그리고 ‘불같다’는 합성어로 ..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로서'와 '로써'의 차이 '로서'와 '로써'의 차이 로서'는 지위나 신분 또는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이고, '로써'는 '어떤 물건의 재료나 원료, 수단이나 도구를 나타내는 조사'입니다. 그 쓰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그것은 교사로서 할 일이 아니다. 그는 친구로서는 좋으나, 남편감으로서는 부족한 점이 많다. 언니는 아버지의 ..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반듯이 앉다'가 맞나요, '반드시 앉다'가 맞나요? '반듯이 앉다'가 맞나요, '반드시 앉다'가 맞나요? 허리를 바로 펴고 앉는 것은 '반듯이 앉다'가 맞습니다. '반드시'와 '반듯이'는 둘 다 쓸 수 있는 말인데, "내일 반드시 오너라."처럼 '틀림없이 꼭'이라는 뜻일 때는 '반드시'로 쓰는 것이 맞고, "허리를 반듯이 펴고 앉아라."처럼 '기울거나 굽지 않고 바..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잔치를 벌였다'인가요, '벌렸다'인가요? '잔치를 벌였다'인가요, '벌렸다'인가요? "잔치를 벌였다."가 맞습니다. '벌였다'는 '벌이다'가 활용한 말이고, '벌렸다'는 '벌리다'가 활용한 말입니다. 그런데 '벌이다'와 '벌리다'는 다른 말입니다. '벌이다'는 물건들을 늘어놓거나 어떤 일을 시작하여 진행하는 것이고, '벌리다'는 물건의 사이가 벌어..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씌여'가 맞나요, '쓰여'가 맞나요? '씌여'가 맞나요, '쓰여'가 맞나요? 쓰다'의 피동 표현으로는 '씌어, 쓰여, 써져'가 가능합니다. '쓰다'에 피동 접미사 '-이-'가 붙으면 '쓰이다'가 되는데, 여기에 어미 '-어'가 붙으면 '쓰이어(쓰이-+-어)'가 됩니다. 그런데 이 말은 '씌어'나 '쓰여'로 줄 수 있습니다. 피동 접미사가 아닌 피동 표현으로는 '..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설렘'과 '설레임' 중 맞는 말은? '설렘'과 '설레임' 중 맞는 말은? '설렘'이 맞습니다. '설레다'가 활용하면 '설레어, 설레니, 설렘, 설레었다'가 되고, '설레이다'가 활용하면 '설레여, 설레이니, 설레임, 설레였다'가 됩니다. 그런데 '설레이다'는 '설레다'의 잘못입니다. 그러므로 '설레여, 설레임, 설레였다'는 모두 '설레어, 설렘, 설레..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그러지 말아요'와 '그러지 마요' 중 맞는 것은? '그러지 말아요'와 '그러지 마요' 중 맞는 것은? 그러지 마요'가 맞습니다. '그러지 마요'의 '마요'는 '말다'의 어간 '말-'에 어미 '-아'가 붙어 '마'가 된 다음 보조사 '요'가 붙은 것입니다. '말다'는 어미 '-아, -아라'가 붙으면 받침의 'ㄹ'이 탈락해 '마, 마라'가 됩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 제18항 [붙임]에 '..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안'과 '않'/'안 하다'와 '않다' '안'과 '않'/'안 하다'와 '않다' '안-'과 '않-'은 표기할 때 혼동을 줍니다. 그러나 '않다'는 '아니하다'의 준말임을 알면 문제는 쉽게 해결됩니다. '아니하다'는 경우에 따라 보조 동사, 보조 형용사로 쓰이는데, 연결 어미 '-지' 아래에 쓰이어 부정의 뜻을 나타냅니다. "돌아오지 아니하다."(보조 동사) "돌..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깨끗이, 똑똑히, 큼직이, 단정히, 반듯이, 가까이 등의 경우 '~이'로 써야 할지 '~히'로 써야 할지 구분이 잘 안 됩니다. 원칙은 없지만 구별하기 쉬운 방법은 '~하다'가 붙는 말은 '~히'를, 그렇지 않은 말은 '~이'로 쓰면 됩니다. 그러나 다음에 적어 ..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데'와 '-대' '-데'와 '-대' 「표준 발음법」에 따르면 󰡐ㅔ󰡑 발음과 󰡐ㅐ󰡑 발음을 구별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서울 토박이 중에서도 󰡐ㅔ󰡑 발음과 󰡐ㅐ󰡑 발음을 똑똑히 구별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특히 󰡐ㅔ󰡑와 󰡐ㅐ&#985169..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쉽고 고운 우리말 쉽고 고운 우리말 개골창; 수챗물이 빠지는 작은 고랑창 개귀쌈지; 개의 귀처럼 생긴 쌈지 깨지락거리다; 먹는 일이나 하는 일을 탐탁하지 않게 여겨 게으르게 하다 깨질거리다; 깨지락거리다 그린비 - 사랑하는 사람들. 연인들 다떠위다; 여러 사람이 시끄럽게 떠들고 덤비다 다소다 - 사랑하다 ..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 -없슴'은 잘못 표기하는 것입니다 ‘ -없슴'은 잘못 표기하는 것입니다. 1989년부터 시행한 '한글맞춤법'과 '표준어규정'은 1933년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내놓은 이래 대대적인 수정을 가한 것으로서, 이미 개정된지 13년이란 시간이 흘렀지만 아직도 우리 주변에서 기존 맞춤법과 혼돈되는 부분이 있어 잘못 쓰이는 경우가..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며칠'과 '몇일'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며칠'과 '몇일'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며칠'만이 맞춤법에 맞는 말이고 '몇일'은 잘못된 말입니다. 이 단어를 소리 나는 대로 적어야 하는 이유는 다음의 예를 통해 알 수 있습니다. (1) 친구가 몇이나 모였니? [며치나] 아이들 몇을 데리고 왔다. [며츨] (2) 지금이 몇 월이지? [며둴] 달걀 몇 알을..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고마워요'와 '고마와요'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고마워요'와 '고마와요' 중 어느 것이 맞습니까? '고마워요'가 맞습니다. 모음 조화에 따르면 어간 'ㅏ, ㅗ'에 어미 '-어(었)'가 결합하면 'ㅏ, ㅘ'로 적어야 하나 맞춤법 규정 제18항에서 "용언들의 어간이나 어미가 원칙에 벗어나면 벗어나는 대로 적는다."라고 하면서 어간의 끝 'ㅂ' 이 'ㅜ'로 바뀔 때는..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되다'와 '돼다'는 어떻게 다릅니까? '되다'와 '돼다'는 어떻게 다릅니까? '되다'와 '돼다'의 두 가지 형태의 말이 있는 것이 아니고, '되다'에 '-어, -어라, -었-' 등이 결합되어 '되어, 되어라, 되었-'과 같이 활용한 것이 줄 경우에 '돼, 돼라, 됐-'의 '돼-' 형태가 나오는 것입니다. '돼-'는 한글 맞춤법 제35항[붙임 2] "'ㅚ' 뒤에 '-어, -었-'이 아..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1.02
'못하다'의 띄어 쓰기는 '못하다'의 띄어 쓰기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못'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타내는 부사'입니다. '술을 못 마시다, 잠을 통 못 자다'처럼 일반적으로 서술어 앞에서 서술어를 꾸며 주며 띄어 씁니다. 그런데 '하다'가 서술어로 올 경우는 '못..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0.16
-쟁이/-장이에 관한 풀이 -쟁이/-장이에 관한 풀이 우리말에는 'ㅣ'역행동화가 매우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ㅣ'역행동화라는 것은 뒤의 'ㅣ'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앞의 소리를 닮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먹이다'를 [맥이다]로 발음한다든지 '손잡이' 를 [손잽이]로 발음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예 가운데 '~장이'..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0.02
"-오와-요"에 관한 풀이 “ -오와 -요”에 관한 풀이 자주 쓰이는 말 가운데 그때마다 틀리게 써서 눈살을 찌뿌리게 하는 것들이 더러 있는데, 씨끝 '-오'와'-요'를 뒤섞어 쓰는 경우가 그 대표적인 예입니다. 다음에 보기를 들어 보겠습니다. (1) ㄱ.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ㄴ. "어서 *오십시요." ㄷ. "자리에 앉아 *주십시요...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09.19
"-입니다, _ 입니다" 학생입니다'가 맞나요, '학생 입니다'가 맞나요? '학생입니다'로 붙여 씁니다. '입니다'는 서술격 조사 '이다'의 활용형으로 앞에 오는 명사에 붙여 써야 합니다. '이다'는 명사나 명사구 따위 뒤에 붙어 서술어를 만드는 조사입니다. 국어에서 조사는 명사와 붙여 쓰므로 '학생입니다'도 '학생 입니다'로..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09.12
"씨, 님"의 띄어쓰기 '씨, 님'의 띄어쓰기 '홍길동 씨, 홍길동 님'으로 띄어 씁니다. 성이나 이름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한글 맞춤법 규정 제48항에 띄어 쓰도록 하고 있습니다. 성명이나 성, 이름 뒤에 붙는 호칭어나 관직명 등은 앞에 오는 고유 명사와는 별개의 단위이므로 띄어 쓰도록 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홍..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09.12
좇다와 쫓다 좇다'와 '쫓다'의 차이? 실제적인 공간의 이동이 있을 경우는 '쫓다', 공간의 이동이 없을 때는 '좇다'를 씁니다. 그러므로 "스승의 의견을 좇다, 돈과 명예를 좇다, 아버지의 뜻을 좇아 가업을 이었다.'와 같은 예에서는 '좇다'를 쓰고, '강아지가 고양이를 쫓아가다, 후발대는 선발대를 바로 쫓았다.'와 ..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