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여야 겠다'와 '하여야겠다' 우리말 바로쓰기'하여야 겠다'와 '하여야겠다'카테고리 띄어쓰기 출처 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조회수 5,817 질문'하여야 겠다'와 '하여야겠다' 중 맞는 띄어쓰기는 무엇입니까? 답변'하여야겠다'로 붙여 쓰는 것이 맞습니다. '하여야겠다'는 '하여야 하겠다'에서 '하'가 줄어들어서 만들어..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8.11.03
부사화 접미사 '이'와 '히' 부사화 접미사 '이'와 '히' 질문 : 형용사에 부사화 접미사 '-이-, -히-'가 붙는 경우에 대해서 여쭤 봅니다. 형용사 어간에 '하다'가 결합하면, '-히'를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이'를 붙인 다. 단, '하다'가 붙더라도 형용사 어간의 받침이 ㅅ, ㄱ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이'를 붙인다. 저는 ..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8.09.29
'-ㄹ라치면'의 쓰임 '-ㄹ라치면'의 쓰임 질문 : ‘할라치면’이라는 말을 쓸 수 있습니까? 답변 : ‘할라치면’은 ‘하다’의 어간 ‘하-’에 어미 ‘-(으)ㄹ라치면’이 붙은 형태입니다. 어미 ‘-ㄹ라치면’은 앞 절의 일이, 그 일이 있으면 으레 어떤 결과가 따르는 것을 경험한 데에서 하나의 조건으로 추상..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8.05.04
'-어도'와 '-더라도'의 차이 '-어도'와 '-더라도'의 차이질문 : 가정이나 양보를 나타내는 '-아/어도'와 -더라도'의 차이를 알 수가 없어서 글을 올립니다. 예를 들면 - 배가 고파도 참으세요. - 배가 고프더라도 참으세요. 이 두 문장에서는 두 문법을 바꿔서 사용해도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그런데 - 그 사람은 슬퍼도 ..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7.12.08
표준어 추가 현황(2011년~2016년) 표준어 추가 현황(‘11년~’16년) 2011년(39항목) 기존 표준어 추가 표준어 의미 구분 ~기에 ~길래 ‘~기에’를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별도 표준어 간질이다 간지럽히다 살갗을 문지르거나 건드려 간지럽게 하다. 복수 표준어 괴발개발 개발새발 개의 발과 새의 발이라는 뜻으로, 글씨를 되..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7.07.05
'꺼꾸로'와 '거꾸로' 중 올바른 표현은? '꺼꾸로'와 '거꾸로' 중 올바른 표현은? 한 단어 안에서 뚜렷한 까닭 없이 나는 된소리는 다음 음절의 첫소리를 된소리로 적는데, 두 모음 사이에서 나는 된소리에 해당하는 것이 ‘거꾸로’이다. ‘꺼꾸로’는 청각인상을 강화함으로써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분명히 하려는 의도일 가..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7.02.26
'넘어'와 '너머' '넘어'와 '너머' 질문 : '아시아를 (넘어, 너머) 세계로'에서 넘어와 너머 중에서 어느 것이 맞는 답변 : 제시하신 문장에는 '아시아를'이라는 목적어가 있으므로, '무엇이 무엇을 넘다'의 문형으로 쓰이고, '일정한 기준이나 한계 따위를 벗어나 지나다.'의 뜻을 나 타 내는 동사 '넘다'를 써..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6.12.16
'한편'과 '한 켠' 바른 표현 '한편'과 '한 켠' 바른 표현 질문 : '가슴 한 켠'이 옳은 말인가요, 아니면 '가슴 한 편'이 옳은 말인가요? 가슴 한 편이 옳다면 '한 켠'은 사투리인가요? 답변 : '어느 하나의 편이나 방향'을 이르는 '한편'을 써서 '가슴 한편'과 같이 쓰는 것이 적 절하겠습니다. 방향을 가리키거나 또는 서로 ..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6.06.22
'밑', '아래'의 의미 '밑', '아래'의 의미 질문 : 바다 (1)에는 여러가지 물고기들이 살고 있다. 정상에 오르니 발 (2)로 보이는 풍경이 장관이었다. 1. 밑 2. 아래 라고 하는데, 명확하게 뜻이 잡히지 않네요. 답변 : '밑'은 물체의 아래나 아래쪽을 뜻하고, '아래'는 어떤 기준보다 낮은 위치를 뜻합니다. 첫 번째 문..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6.02.11
조사 '들'과 접미사 '-들' 조사 '들'과 접미사 '-들' 질문 : '들'의 용법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니 '다들 떠나갔구나.', '안녕들 하세요?'에서의 '들'은 그 문장의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보조사이고, '사람들, 너희들, 사건들'에서의 '들'은 셀 수 있는 명사나 대명사 뒤에 붙..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6.01.22
'않하다'와 '안 하다' '않하다'와 '안 하다' 질문 : 문장을 보면 '~않하다, ~안하다'가 쓰이는데 이 두 말의 차이점과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 주세요. 답변 : 부정이나 반대의 뜻을 가진 문장을 만들 때, ‘안’을 용언 앞에 놓는 방법과 용언의 어간 뒤에 ‘-지 않다’를 붙이는 방법, 두 가지가 있습니다. 용언 앞에..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5.08.06
'않는'과 '않은'의 차이 1. '않는'과 '않은'의 차이 질문 : 부정 표현 '-지 않다'에 대한 의문인데요. "나와 너의 공조는 동상이몽에 지나지 않은 것이다."라는 문장에서 '않은'의 형태가 잘못인가요? 지나지 않다가 동사니까, '지나지 않은/지나지 않는' 둘 다 가능한 거 아닌가 생각하는데. 바른 표현을 하려면 어떻..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3.12.30
'너머'와 '넘어' '너머'와 '넘어' 질문 : "산 ○○ 마을"이라고 할 때 ○○ 안에 들어갈 말이 '너머'와 '넘어' 중에 어느 것입니까? 답변 : '너머'입니다. '너머'와 '넘어'는 발음이 같고 뜻도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기 쉽습니다. '넘어'는 동사 '넘-'에 '-어'가 연결된 말입니다. (1) 물이 넘어 수도꼭지를 잠갔다..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3.09.16
조사 '들'과 접미사 '-들' 조사 '들'과 접미사 '-들' 질문 : '들'의 용법에 관하여 질문드립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을 찾아보니 '다들 떠나갔구나.', '안녕들 하세요?'에서의 '들'은 그 문장의 주어가 복수임을 나타내는 보조사이고, '사람들, 너희들, 사건들'에서의 '들'은 셀 수 있는 명사나 대명사 뒤에 붙..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3.09.09
보조 용언 띄어쓰기 보조 용언 띄어쓰기 질문 : 보조 용언의 경우, 띄어 씀과 붙여 씀이 허용되어 있는데, 그중 붙여 쓰는 경우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우선, 앞 어간이 '아/어'일 경우에만 뒤에 오는 보조 동사 가 붙을 수 있다는 말씀을 여러 차례 전화로 들었습니다. 그 다음, 동사 중에서도 보조 동사의 쓰임..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3.04.22
'에'와 '로'의 차이 '에'와 '로'의 차이 질문 : 서울에 간다와 서울로 간다의 '에'와 '로'의 차이점이 뭔가요? 답변 : ‘에’는 앞말이 처소의 부사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이며, ‘로’는 움직임의 방향을 나타내는 격 조사입니다. 따라서 '서울에 간다'는 가는 행위 목적지를 의미하며, '서울로 간다'는 가는 ..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3.03.26
'-ㄹ런지', '-ㄹ른지', '-ㄹ는지' 중에 바른 표현 '-ㄹ런지', '-ㄹ른지', '-ㄹ는지' 중에 바른 표현 질문 : '-ㄹ런지, -ㄹ른지, -ㄹ는지' 중에서 어느 것이 맞나요? 답변 : '-ㄹ는지'가 맞습니다. '-ㄹ는지'는 뒤 절이 나타내는 일과 상관이 있는 어떤 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또는 앎이나 판단ㆍ추측 등의 대상이 되..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3.03.22
조사 '의'의 쓰임 조사 '의'의 쓰임 '그대의 자랑' 질문 : 어느 신문에서 "'한글' 그대에 자랑이어라."라는 머리기사를 봤습니다. 제 느낌으로는 '그대에'는 '그대의'를 잘못 사용한 것 같습니다. 어떤 것이 맞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 생각하신 바가 맞습니다. 제시하신 문구에는, 앞 체언이 관형어 구..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2.09.16
-구나 사용법 -구나3 검색결과 【종결 어미】 (1) 형용사나 ‘이다’의 어간 또는 선어말 어미 ‘-으시-’, ‘-었-’, ‘-겠-’의 뒤에 붙어,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대하여 감탄하거나 주목하는 뜻을 나타내는 말. 해라체로, 주로 혼잣말에 쓰인다. 꽃이 참으로 아름답구나. 그녀가 주연 배우이구..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2.09.01
이다의 어법 (1) ‘이다’와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이 결합하면 어간 ‘이-’가 수의적으로 생략된다. 학교다(○), 학교이다(○) (2) ‘이다’는 다음과 같은 어미와의 결합에서 특이성을 보인다. 나열된 어미 쌍들은 동일한 기능을 하는데, 전자는 ‘이다’, ‘아니다’뿐 아니라 형용사나 용언 전체와 ..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2.09.01
'하고 싶은', '하고픈' 바른 표현 '하고 싶은', '하고픈' 바른 표현 질문 : '-하고프다'와 '-고프다'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이 말들이 '-하고 싶다'가 줄어서 된 말이 맞습니까? 그리고 흔히 사용하듯이 '-하고팠 다'라고 써도 좋습니까? 답변 : ''하고 싶은, 먹고 싶은, 하고 싶었다'를 줄여 '하고픈, 먹고픈, 하고팠다'와 같이 쓰..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2.04.25
접두사 '암-', '수-'의 쓰임 접두사 '암-', '수-'의 쓰임 질문 : 수컷인 닭을 '수탉', 암컷인 닭을 '암탉'이라고 하지 않습니까? 그럼 외국어로 된 단어를 한글로 읽은 단어에 '수'나 '암'을 붙여도 ㅎ이 뒤에 영향을 미치나요? 예를 들어 'GanDong'(간동)이라는 동물이 있다고 가정하면 수컷인 '간동'은 '수칸동', 암컷인 '간동..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2.03.22
[스크랩] 국립국어원 표준 언어 예절 표준언어예절_내지I_1~120.PDF 국립국어원에서 발간한 표준 언어 예절 PDF 파일입니다. 첨부 파일 용량 초과로 압축 파일 중 표준 언어 예절 I(page 1~120)만 첨부합니다. '표준 언어 예절'은 국립국어원 누리집(www.korean.go.kr)에서 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으며 립국어원 공공언어지원단(☎02-2669-9726)..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2.03.14
'못 되다'와 '안 되다' / '못되다'와 '못 되다' '못 되다'와 '안 되다' 질문 : 초등학교 수학책에 보면 물건의 길이를 재는 것에 대한 문제에서 '색연필이 11cm 조금 못 된다'라는 표현이 나옵니다. 이 경우 '못 된다' 대신에 '안 된다'라고 써도 될까요? 답변 : '못'은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을 할 수 없다거나 상태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부정의 뜻을 나..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1.04.01
'접미사 '-여'의 쓰임 맞춤법/표기법 '접미사 '-여'의 쓰임우리말 바로 쓰기 1. '그 수를 넘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여'는,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에는 붙어 쓰이되, 주로 '십여 개, 이십여 년, 40여 개국, 백여 개, 백오십... '100여년전' 띄어쓰기우리말 바로 쓰기 '100여 년 전' 으로 띄어 씁니다. '여'는 수량을 나타내는 말 뒤..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11.03.23
"~한 지가 " 국어책에요"~한지가 오랜지다.."라는 표현이 있나요?저는본것같거든요. 내공 드리겠습니다 eunokidie 2004.04.16 14:43 답변 1| 조회 241 "~한지가 오랜지다.. ~된지가 오랜지다.." 라고해서 "오랜지"가 종결형으로 쓰이는 경우가 있나요? 전 분명히 문학책에서 본듯한데 사람들은 '~오랜지'는 "얼마나 ~한지가 오..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09.08.10
'으' 탈락 용언 '으' 탈락 용언 cot56 답변채택률 85.8% 2004.07.28 20:19 정확한 설명 감사합니다. 어간의 '으'가 탈락하는 것은 규칙적인 변화이기 때문에 '불규칙'이란 용어를 쓰지 않습니다. '으 탈락 용언'은 어간 말음 '으'가 모음으로 된 연결어미 '-아,-어'와 과거시제 선어말어미 '-았-,-었-' 앞에서 규칙적으로 탈락하는 ..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09.06.16
었, 였 re: 이중섭이'었'더라면? 이중섭이'였'더라면? ksks3535 답변채택률 84.5% 2005.09.01 13:25 ^^ '였'은 '이었'의 준말이랍니다. 앞의 마지막 글자에 받침이 없으면 '였'이 쓰이고, 받침이 있으면 '이었'이 쓰인답니다. 예) 너였더라면, 봄이었더라면 '이중섭'의 마지막 글자인 '섭'이 받침이 있기 때문에 '이었더라면'..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09.06.10
화냥녀/ 환향녀[펌] 화냥녀/ 환향녀[펌] ** 화냥녀 : 청나라에 끌려 갔다가 정절을 잃고 조선에 돌아온 여자. 원래는 還鄕女[돌아올환, 시골향, 고향으로 돌아온 여자-후에 화냥녀로 구개음화됨]이다. ** 호로자식 : 청나라에 끌려갔던 조선여인이 임신해서 돌아와 조선에서 낳은 자식. (호로=청나라) __ 1,637년 난리 후 청의 .. 14. 우리말 바로 쓰기 2009.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