팍상한 계곡에서 강대실 ▷ 팍상한 계곡에서 | 한국작가 시(詩) 2004.10.24 19:32 일벌레(workhallic) 카페매니저 http://cafe.naver.com/ipsen/650 팍상한 계곡에서 강 대 실 태초의 숨결 오롯한 수십 수백길 깎아 세운 좌우 절벽 하늘 얹혀 있고 손 내밀면 잡힐 듯 계곡물이 갈라놓아 바라만 본 긴긴 세월 선 채로 굳은 바위 청태 향기 그.. 12. 다른데의 내 시 2006.10.12
문학의 즐거움 제 1회 쎄미나 및 시낭송회 문학의 즐거움 제 1회 쎄미나 및 시낭송회 | 낙서 2004/11/16 02:40 http://blog.naver.com/june7590/120007652032 토요일 10시 창동역에서 김종선님의 차로 광주를 향해 출발, 서해안 고속도로가 막히고 약간의 길찾기로 5시 반에야 조선대학에 도착했다 드디어 시작된 문즐의 첫 모임 강인한님을 만난것이 무엇보다 반.. 12. 다른데의 내 시 2006.10.12
새해의 기도 ♣2002년을 위해 다같이 기도 합시다♣ 번호 : 87 글쓴이 : 자재맨 조회 : 13 스크랩 : 0 날짜 : 2002.01.02 17:10 > CUT-HEAR 새해의 기도 밝아오는 새해에는 마음속 바위 하나 품게 하소서 모진 세파 몰아쳐도 굴하지 않고 앞만 보고 다소곳이 살게 하소서 밝아오는 새해에는 마음속 다순 눈 뜨게 하소서 그릇된 편.. 12. 다른데의 내 시 2006.10.12
[스크랩] 길/이해인 길 이해인 아무래도 혼자서는 숨이 찬 세월 가는 길 마음길 둘 다 좁아서 갈수록 힘에 겨워 내가 무거워 어느 숲에 머물다가 내가 찿은 새 무늬 고은 새를 이고 먼 길을 가네. "); } else { document.writeln(" "); } //--> function popupMyAvatar() { mname = "%EC%88%98%EC%95%84"; rurl = "http://cafe108.daum.net/reload.html"; url = "http.. 13. 내가 읽은 좋은 시 2006.10.09
[스크랩] 아침편지....미움을 지우개로 지우며... 미움을 지우개로 지우며 상대방의 욕심이 당신을 화나게 할 땐 너그러운 웃음으로 되갚아주세요. 상대방의 거친 말투가 당신을 화나게 할 땐 부드러운 말씨로 되갚아주세요. 상대방의 오만불손함이 당신을 화나게 할 땐 예의바른 공손함으로 되갚아주세요. 당신을 화나게 한 상대방은 하나 더 미움을.. 17. 좋은 글 2006.10.09
[스크랩]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서정주 연(蓮)꽃 만나고 가는 바람 같이 / 서정주 섭섭하게, 그러나 아조 섭섭치는 말고 좀 섭섭한 듯만 하게, 이별이게, 그러나 아주 영 이별은 말고 어디 來生에서라도 다시 만나기로 하는 이별이게, 연(蓮)꽃 만나러 가는 바람 아니라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엊그제 만나고 가는 바람 아니라 한두 철 전 만.. 13. 내가 읽은 좋은 시 2006.10.04
[스크랩] 건너편의 풍경/강인한 건너편의 풍경 - 강인한 내 눈 높이로 걸려 있는 나지막한 허공 능선 위에 서 있는 나무들의 생각이 환하다 이 겨울엔 산도 생각이 맑아져 저렇게 조용히 하늘 아래로 흐르는구나 고집스레 무성하던 초록의 의상을 가을 한철 다 벗어버리고 메마른 가지와 가지 사이로 홀연히 건너편의 풍경을 열어주.. 13. 내가 읽은 좋은 시 2006.10.04
-쟁이/-장이에 관한 풀이 -쟁이/-장이에 관한 풀이 우리말에는 'ㅣ'역행동화가 매우 일반화되어 있습니다. 'ㅣ'역행동화라는 것은 뒤의 'ㅣ'소리의 영향을 받아서 앞의 소리를 닮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먹이다'를 [맥이다]로 발음한다든지 '손잡이' 를 [손잽이]로 발음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런 예 가운데 '~장이'.. 15. 우리말 바로 쓰기 2006.10.02
문학을 하려는 청소년들에게 문학을 하려는 청소년들에게 이승하 청소년 여러분, 안녕? 여러분이 처음 들어보는 이름일 저 이승하란 사람은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학생들에게 시 이론과 창작 실기를 지도하고 있습니다. 교수라는 직업을 갖고 있지만 그것은 직업일 뿐, 제 스스로는 시인이라고 생각하며 살아가고 있습니.. 14. 문학 산책 2006.10.01
저자와의 만남 / 이승하 저자와의 만남 / 이승하 이승하 “시가 어렵다고만 생각해 오지 않았습니까? 시인을 보통 사람과는 다른 별종이라고 생각해 오지는 않았습니까? 시를 자꾸 접해 본다면 뜻밖에도 쉽구나, 재미가 있구나, 감동을 주는구나, 하고 생각이 바뀔 것입니다. 시를 한 편, 두 편 습작해 보면 시인에 대한 막연한.. 14. 문학 산책 2006.10.01
디지털 시대, 시의 위기와 처방에 대하여 디지털 시대, 시의 위기와 처방에 대하여 이승하 강연 원고 : 디지털 시대, 시의 위기와 처방에 대하여 안녕하십니까? 저는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에서 학생들에게 시론, 시문학사, 시인 연구, 시작법 등을 가르치고 있는 이승하라고 합니다. 하지만 대학교수라는 것은 직업에 지나지 않고, 저는 이 .. 14. 문학 산책 2006.10.01
좋은 시가 갖고 있는 덕목들ㅡ등단작을 중심으로 좋은 시가 갖고 있는 덕목들ㅡ등단작을 중심으로 이승하 좋은 시가 갖고 있는 덕목들 ―등단작을 중심으로 미주한국문인협회 회원 여러분! 작년에 이어 올해도 저를 여름 문학캠프 강연자로 초청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고마운 마음이 드는 한편 부담이 되기도 합니다. 작년보다 더 알찬 내용으로 강.. 14. 문학 산책 2006.10.01
인물기획ㅡ중앙대 문예창작과 이승하 교수 인물기획ㅡ중앙대 문예창작과 이승하 교수 이승하 발길마다 ‘바삭’하고 낙엽이 차이는 계절, 가을이 왔다. 11월 1일 열린 19번째 ‘시의 날’도 이런 가을과 함께 시작됐다. 지난달 29일 ‘시의 날’을 기념해 마련된 전주 시인축제에서는 ‘시여, 노래하라’라는 주제로 전통 가락과 서정이 만나는 .. 14. 문학 산책 2006.10.01
지역 문예지에 실린 좋은 시를 찾아서 지역 문예지에 실린 좋은 시를 찾아서 이승하 『시와정신』 2005년 봄호 김정원 「감자」 『신 생』 2005년 봄호 권경업 「이슬을 낚는 거미는 배가 고프다」 『시와사람』 2005년 봄호 김옥희 「순신에 관한 소문」 『다 층』 2005년 봄호 원무현 「일용할 양식」 『생각과느낌』2005년 봄호 임희구 「1964.. 14. 문학 산책 2006.10.01
2005년 신춘문예 당선작 중에서 좋은 시 찾기 2005년 신춘문예 당선작 중에서 좋은 시 찾기 이승하 김영남 형께 올립니다. 새해를 맞아 가내 다복과 형의 건강을 기원합니다. 오늘이 2005년 1월 6일, 전국 일간지에 신춘문예 당선작들이 발표되어 영광의 얼굴들이 신문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젊은 여성 문학도가 2개 신문의 문학평론과 1개 신문의 영.. 14. 문학 산책 2006.10.01
새롭지만은 않은 일곱 '신인'의 목소리 새롭지만은 않은 일곱 '신인'의 목소리 이승하 가을을 흔히 수확의 계절, 결실의 계절이라고 한다. 우리 시단에서 가을(2004년 9∼11월)은 월간지 계간지 할 것 없이 '신인'이라는 결실을 거둬들이는 계절이다. 특히 중앙일보가 해마다 연초에 벌이는 신춘문예라는 축제를 9월로 옮김으로써 우리는 이 가.. 14. 문학 산책 2006.10.01
'문창과'와 문학 열정과 냉정 사이 '문창과'와 문학 열정과 냉정 사이 [한겨레신문 2005.12.22 17:51:10] 이승하 '문창과'와 문학 열정과 냉정 사이 문제 하나. 다음에 거명되는 문인들의 공통점은? 김주영 조세희 박상륭 이문구 한승원 송수권 김원일 이동하 오정희 이경자 송기원 이시영 임영조…. '서라벌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학과 출신'이.. 14. 문학 산책 2006.10.01
이육사문학상과 미당시문학관의 명암 이육사문학상과 미당시문학관의 명암 이승하 최근에 나는 대구에 다녀왔다. 대구방송국(TBS)과 안동시가 공동으로 제정한 제1회 이육사문학상의 심사를 의뢰 받았기 때문이다. 수상자는 작품세계의 질은 물론이거니와 시정신과 시인으로서의 행보에 있어 늘 정도를 걸어왔다고 여겨지는 시조시인 정.. 14. 문학 산책 2006.10.01
문예창작학과는 무엇을 공부하는 곳인가 글쟁이를 만들기 위한 실기 수업 ▲이승하 / 중앙대·문예창작학 &copy; <교수신문>(2006.2.22) 문예창작학의 학문적 특성을 이야기하기 전에 개인적인 경험담을 몇 가지 들려드린다. 1979년에 ‘중대 문창과’에 입학했지만 곧바로 휴학계를 냈다. 휴학의 이유 중 가장 큰 것은 문학을 평생의 업으.. 14. 문학 산책 2006.10.01
동고의 문학ㅡ이승하론 동고(同苦)의 문학 ㅡ이승하론 박찬일(시인) 1. 들어가며 이승하는 최근 {애지}(2006. 봄)에 발표한 시편들에서 그의 시관(詩觀)의 일단을 보여주었다. 인물시 [광대를 찾아서 2―百結]에서는 '유익함·즐거움' 중에서 유익함을 강조하였다. 이 세상에 시방 音이 없다 音이 없는데 어찌 詩가 나오랴 라고 .. 14. 문학 산책 2006.10.01
문학은 허구지만 시공을 초월해서 감명을 줍니다 문학은 허구지만 시공을 초월해서 감명을 줍니다 이승하 차분하게 귓볼을 울리는 음성이었다. 시인이라기보다는 영화배우의 목소리처럼 열기가 느껴졌다. 어느 누구도 미워하지는 못할 목소리. 그 목소리를 떠올리면서 그의 시를 읽어 내려갔다. 저절로 짠하고 애착이 갔다. 한바탕 전투기의 폭격이 .. 14. 문학 산책 2006.10.01
시의 네 단계 임보님의 시창작강의 | 게시판 2006/01/21 22:34 http://blog.naver.com/june7590/120021433025 [제38신]시의 네 단계 임보 로메다 님, 신춘문예에 당선의 영예를 누리지 못했군요. 좀 실망이야 되겠지만 너무 애석해 할 것도 없습니다. 지난번에 내가 얘기한 것처럼 문예작품의 평가는 선자(選者)의 주관에 좌우됩니다. .. 14. 문학 산책 2006.09.30
괴테의 작품 세계 괴테의 작품세계 | 게시판 2006/02/02 23:09 http://blog.naver.com/june7590/120021741453 괴테의 작품 세계 시대를 초월한 위대한 시인의 대시극 괴테의 문학과 인간 1. 개요 독일의 대표적인 시인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는 1749년 8월 28일 마인 강변에 있는 프랑크푸르트 자유시에서 유서 깊은 명문 집안의 장남으로 .. 14. 문학 산책 2006.09.30
시는 간림諫林이다 | 시론, 시창작 강의 2006/04/23 12:18 시는 간림諫林이다 | 시론, 시창작 강의 2006/04/23 12:18 http://blog.naver.com/june7590/120023983854 시는 간림(諫林)이다 다산 정약용 유배지에서 아들에게 준 교훈적인 글에서, “나의 성품은 시율(詩律)을 좋아하지 않았다(余性不喜詩律)”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그가 죽은 뒤 문집으로 간행된 시만 해도 2.. 14. 문학 산책 2006.09.30
시, 어떻게 쓸까 시, 어떻게 쓸까 ( 누가 쓰셨는지 지금 작자를 모르겠네요. ) 1. 글쓰기는 말걸기이다(듣기가 읽기인 것처럼) 누구에겐가 말을 건다는 것은 첫 마디를 던진다는 것이다. 처음 몇 마디가 뒤엉켜 버리면 끝장이다. 내 후배 가운데 하나는 다음과 같이 말을 꺼내는 친구가 있다. ■저어, 있잖아요, 제가, 며.. 14. 문학 산책 2006.09.27
시 읽는 사회 詩 읽는 사회 | 시론, 시창작 강의 2006/06/29 23:02 http://blog.naver.com/june7590/120026056879 詩 읽는 사회 - 송복(연세대 명예교수) 오늘날 우리 사회는 왜 이렇게 메마를까. 왜 사람들은 유머가 없고 얼굴엔 웃음이 없을까. 왜 모두 성낸 표정을 하고 불친절할까. 이유는 간단하다. 시를 읽지 않기 때문이다. 시를 .. 14. 문학 산책 2006.09.27
시의 구절 시의 구절 | 시론, 시창작 강의 2006/08/05 09:07 http://blog.naver.com/june7590/120027395094 시인의 산문 시의 구절 황도제 ‘너희가 생명을 걸지 않으면 결코 생명을 얻을 수 없다.’ 이 말은 실러의 「발렌슈타인의 기사의 노래」 시(詩)의 마지막 행이다. 비장미가 넘치는 시의 구절이다. 1927년 불확정성이론을 발.. 14. 문학 산책 2006.09.27
시와 감동(임보 칼럼) 임보 칼럼 시와 감동 얼마 전 모 시지(詩誌)에 특집으로 발표된 젊은 시인들의 작품을 읽은 바 있다. 이들은 어느 시동인회가 지난 10년 동안에 걸쳐 매년 한 사람씩 선정한 수상자들이라고 한다. 그러니 수천 명의 젊은 시인들 가운데서 유능하다고 평가받은 신인들인 셈이다. 그런데 이들의 작품을 읽.. 14. 문학 산책 2006.09.27
시는 삶의 양식 시는 삶의 양식 | 시론, 시창작 강의 2006/09/08 14:24 http://blog.naver.com/june7590/120028702234 시는 삶의 양식 이기철 인간은 생각의 순금을 얻기 위해 생애를 바친다 집중하고 천착하라 얻은 것 아무것도 없다 할지라도 생각하는 시간은 귀중하다 모래 위를 맨발로 걸어간 사람 소금바다를 헤매다 죽은 어부 볍씨.. 14. 문학 산책 2006.09.27
매월당의 시론(임보 칼럼) 임보 칼럼 매월당의 시론 임 보(시인) 생육신 중의 한 사람인 매월당(梅月堂) 김시습(金時習, 1435∼1493)은 한국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의 저자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세 살 때부터 시를 짓기 시작했고, 다섯 살에는 어전시(御前詩)로 세종을 놀라게 했다고 하니 그의 타고난 시재를 짐작할 만.. 14. 문학 산책 2006.09.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