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신춘문예 시 당선작
■ 조선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돌의 문서 / 이린아 잠자는 돌은 언제 증언대에 설까? 돌은 가장 오래된 증인이자 확고한 증언대야. 돌에는 무수한 진술이 기록되어 있어. 하물며 짐승의 발자국 부터 풀꽃의 여름부터 순간의 빗방울까지 보관되어 있어. 돌은 한때 단죄의 기준이었어. 비난하는 청중이었고 항거하는 행동이었어. 돌은 그래. 인간이 아직 맡지 못하는 숨이 있다면 그건 돌의 숨이야. 오래된 공중을 비상하는 기억이 있는 돌은 날아오르려 점화를 꿈꾼다는 것을 알고 있어. 돌은 바람을 몸에 새기고 물의 흐름도 몸에 새기고 움푹한 곳을 만들어 구름의 척후가 되기도 해. 덜어내는 일을 일러 부스러기라고 해. 하찮고 심심한 것들에게 세상 전부의 색을 섞어 딱딱하게 말려 놓았어. 아무 무게도 나가지 않는 저 하늘이 무너지지 않는 것도 사실은 인간이 쌓은 저 딱딱한 돌의 축대들 때문일 거야. 잠자던 돌이 결심을 하면 뾰족했던 돌은 뭉툭한 증언을 쏟아낼 것이고 둥그런 돌은 굴러가는 증언을 할 거야. 단단하고 매끈한 곁을 내주고 스스로 배회하는 돌들의 꿈 좋은 것도 나쁜 것도 없이 굴러다닌 거야. 아무런 체중도 나가지 않을 때까지. ■ 동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복도 / 변선우 나는 기나긴 몸짓이다 흥건하게 엎질러져 있고 그렇담 액체인걸까 어딘가로 흐르고 있고 흐른다는 건 결국인 걸까 힘을 다해 펴져져 있다 그렇담 일기인 걸까 저 두 발은 두 눈을 써내려가는 걸까 드러낸 자신이 없고 드러낼 문장이 없다 나는 손이 있었다면 총을 쏘아보았을 것이다 꽝! 하는 소리와 살아나는 사람들, 나는 기뻐할 수 있을까 그렇담 사람인 걸까 질투는 씹어 삼키는 걸까 살아있는 건 나밖에 없다고 고래고래 소리 지르는 걸까 고래가 나를 건너간다 고래의 두 발은 내 아래에서 자유롭다 나의 이야기가 아니다 고래의 이야기는 시작도 안했으며 채식을 시작한 고래가 있다 저 끝에 과수원이 있다 고래는 풀밭에 매달여 나를 읽어내린다. 나의 미래는 거기에 적혀 있을까 나의 몸이 다시 시작되고 잘려지고 이어지는데 과일들은 입을 지우지 않는다 고래의 고향이 싱싱해지는 신호인 걸까 멀어지는 장면에서 검정이 튀어 오른다. 내가 저걸 건너간다면 복도의 이야기가 아니다 길을 사이에 두고 무수한 과일이 열리고 있다 그 안에 무수한 손잡이 ■ 경향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 크레바스에서 / 박정은 왁자지껄함이 사라졌다 아이는 다 컸고 태어나는 아이도 없다 어느 크레바스에 빠졌길래 이다지도 조용한 것일까 제 몸을 깎아 우는 빙하 탓에 크레바스는 더욱 깊어진다 햇빛은 얇게 저며져 얼음 안에 갇혀 있다 햇빛은 수인(囚人)처럼 두 손으로 얼음벽을 친다 내 작은 방 위로 녹은 빙하물이 쏟아진다 꽁꽁 언 두 개의 대륙 사이를 건너다 미끄러졌다 실패한 탐험가가 얼어붙어 있는 곳 침묵은 소리를 급속 냉동시키면서 낙하한다 어디에서도 침묵의 얼룩을 찾을 수 없는 실종상태가 지속된다 음소거를 하고 남극 다큐멘터리를 볼 때처럼, 내레이션이 없어서 자유롭게 떨어질 수 있었다 추락 자체가 일종의 해석, 자신에게 들려주는 해설이었으므 크레바스에 떨어지지 않은 나의 그림자가 위에서 내려다본다 구멍 속으로 콸콸 쏟아지는 녹슨 피리소리를 들려준다 새파랗게 질린 채 둥둥 떠다니는 빙하조각을 집어먹었다 그 안에 든 햇빛을 먹으며 고독도 요기가 된다는 사실을 배운다 얼음 속에 갇힌 소리를 깨부수기 위해 실패한 탐험가처럼 생환일지를 쓰기로 한다 햇빛에 발이 시렵다 ■ 한국경제 신춘문예 시 당선작 새살 / 조윤진 입 안 무른 살을 혀로 어루만진다 더없이 말랑하고 얇은 껍질들 사라지는 순간에 얼마나 보잘 것 없는 세계들이 뭉그러졌는지 세어본다 당연히 알 수 없지 시간은 자랄수록 넓은 등을 가진다 행복과 안도가 같은 말이 되었을 때 배차간격이 긴 버스를 기다리지 않고 타게 되었을 때 광고가 다 지나가버린 상영관에 앉았을 때 나는 그렇게 야위어 간다 뚱뚱한 고양이의 부드러운 등허리를 어루만졌던 일 운동장 구석진 자리까지 빼놓지 않고 걷던 일 그런 건 정말 오랜 일이 되어 전자레인지에 돌린 우유의 하얀 막처럼 손끝만 대어도 쉽게 쭈그러지지 톡 건드리기만 해도 감당할 수 없어지는 만들다 만 도미노가 떠올라 나는 못 다 한 최선 때문에 자주 울었다 잘못을 빌었다 눈을 찌푸릴수록 선명해지는 세계 얼마나 더 이곳에 머무르게 될지 아직 알 수 없지 부드럽게 돋아났던 여린 세계들 그런 세계들이 정말 있었던 걸까 ■ 국제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 미륵을 묻다 /김형수 이천여 년 전의 방가지똥 씨앗이 스스로 발아가 된 적이 있다고 한다 한 해밖에 못 사는 풀이 때를 기다린 것이다 사랑할 만한 세상이 오지 않아 이천 년 동안 눈 감은 태연함이라니 고작 일 년 살자고 이천 년을 깜깜 세상 잠잤다니 그런 일이 어찌 꽃만의 일이랴 우리도 한 천 년쯤 자다가 살고 싶은 세상이 왔을 때 눈 뜨면 어떨까 사람이 세상을 가려 올 수 없으니 땅에 엎드린 바랭이들 한 천 년쯤 작정하고 나무를 묻었다는 매향(埋香)의 기록 아, 어느 어진 왕이 천 년 후를 도모했던가 침향이 되면 누구라도 꺼내 아름다운 향기로 살라고 백 년도 아닌 천 년을 걸어 나무를 묻었단다 그것은 사람이 땅에 심은 방가지똥이었다 한 해 지어 한 해 먹던 풀들이 천 년 후의 나무 씨를 뿌렸다는, 우리 오천 년 역사에서 가장 뿌듯한 매향에 관한 몇 줄의 글 읽고 또 읽고 노오란 꽃을 든 미륵이 눈에 어른거렸다 ■ 불교신문 신춘문예 시 당선작 애 / 이윤순 설마에 속아 산 세월 어느 덧 팔십 여년 태워도 안타더라 끓여도 안 익더라 아파도 끊기지 않는 너 북망산은 끊어 줄까 세상에 질긴 끈이 천륜 말고 또 있을까 노구의 어께 위에 버거운 짐 덩이들 방하착(放下着) 할 수 없으니 착득거(着得去) 할 수 밖에 ■ 부산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제주에서 혼자 살고 술은 약해요 ■ 세계일보 신춘문예 시 당선작 돋보기의 공식/우남정 |
'13. 문학 산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도 하반기 창작준비금 지원 사업 참여예술인 모집 공고 (0) | 2018.07.26 |
---|---|
2018년 아르코문학창작기금 공모 결과 발표 (0) | 2018.05.02 |
담양 금성 가사문화벽 (0) | 2017.01.28 |
2017년 신춘문예 당선작 모음 (시부문) (0) | 2017.01.04 |
아리랑에 담긴 우리 얼에 대한 풀이 (0) | 2012.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