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우리말 바로 쓰기

'설다'는 다의어? 동음이의어

월정月靜 강대실 2006. 12. 19. 16:55
'설다'는 다의어? 동음이의어?
평점 :
+2 (4명) 나도 평가하기   조회: 29
집필자 : 개인 지식스폰서 - wisdom0181  (2006-12-18 16:34) 신고하기 | 이의제기

1. 다의어동음이의어의 구분 기준

 

낱말은 여러 개의 뜻을 동시에 지니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여러 개의 뜻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다의어와 동음이의어가 만들어진다. 여러 개의 뜻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뜻을 그 낱말의 '중심 의미'로 보고 나머지 뜻을 '주변 의미'로 파악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그 낱말은 다의어가 된다. 이에 비해, 여러 개의 뜻을 각각 독립적인 '중심 의미'로 파악할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그 각각의 뜻들은 서로 동음이의 관계를 이루게 된다.

 

2-1. 사전마다 다른 구분

 

그런데 관점에 따라, 같은 낱말을 놓고 다의어냐, 동음이의어냐로 서로 의견이 갈리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핵심적인 뜻이 아닌 나머지 뜻을 어떻게 처리하느냐에 따라 분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설다'라는 낱말을 예로 들어 살펴보자.

 

2-2. 표준국어대사전의 '설다' 뜻풀이

 

설다

「I」「동」「1」열매, 밥, 술 따위가 제대로 익지 아니하다. ¶낮에 선 밥을 먹어서 그런지 소화가 잘 안된다. §「2」잠이 모자라거나 깊이 들지 아니하다. ¶간밤에 잠이 설었던 탓인지 하루 종일 피곤하다.「II」「형」&「1」【…에】익숙하지 못하다. ¶귀에 선 목소리/오랜만에 찾아온 고향이라 그런지 뒷산마저 눈에 설게 느껴진다./내 눈에는 그가 입고 있는 옷이 영 설게만 느껴진다. §&「2」빈틈이 있고 서투르다. ¶일이 손에 설어서 영 진척이 없다.

 

위와 같이,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설다'를 다의어로 취급하고 있다. '열매, 밥 따위가 익지 않다'라는 뜻의 '설다'와 '익숙하지 못하다'라는 뜻의 '설다'가 모두 동일한 표제어 밑에 달려 있다. 같은 표제어 밑에 여러 뜻이 달려 있다는 것은 그 여러 개의 뜻이 모두 다의어 관계라는 의미이다.

 

2-3. 모 인터넷 사전의 '설다' 뜻풀이

 

설다¹ 

<자동사>(서니, 서오) ① (열매 따위가) 덜 익다. ¶ 선 과실.

② (음식 같은 것이) 덜 익다. ¶ 밥이 설었다. 김치가 ~.

③ (잠이) 깊이 들지 않다. ¶ 간밤에 잠이 설어서 자꾸 졸린다. <참고> 선잠.

 

설다² 

<형용사> 익숙하지 않다. ¶ 눈에 ~. 귀에 ~. 손에 ~. 낯이 ~. <반의어> 익다. <참고> 선무당. 선바람쐬다. 산 설고 물 설다.

 

위와 같이 이 사전에서는 '설다'가 지닌 '열매, 밥 따위가 덜 익다'라는 뜻과 '익숙하지 못하다'라는 뜻을 다의 관계로 묶지 않고 서로 다른 낱말로 만들어서 '설다1'과 '설다2'로 싣고 있다. '설다1'과 '설다2'로 나뉜 것은 두 개의 낱말이 완전히 서로 다른 낱말이란 의미이다. 즉, 서로 다른 뜻을 지닌 낱말이 우연히 음이 같아진 경우인 동음이의어가 된 것이다. 

 

3. 다르게 분류한 이유

 

두 사전이 '설다'를 다르게 취급하는 것은 '설다'의 여러 가지 뜻 중 하나인 '익숙하지 못하다'를 다루는 방식이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익숙하지 못하다'라는 뜻을, '열매, 밥 따위가 익지 않다'라는 뜻에 종속된 것으로 파악하여 주변 의미로 인정했기에 다의어로 묶었다. 반면에, 모 인터넷 사전에서는 '익숙하지 못하다'라는 뜻을 '열매, 밥 따위가 익지 않다'라는 뜻과는 서로 다른, 별개의 뜻이라고 판단했다. 그리하여 '설다1'과는 다른 낱말인 '설다2'를 만들어서 동음이의어로 분류한 것이다.

 

4. 문제의 해결

 

두 가지 방법 중에서 어느 방법이 옳다, 그르다 혹은 좋다, 나쁘다를 판단하기는 힘들다. 그렇지만 현실적인 문제로 시험 같은 데서 둘 중 하나를 골라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그럴 경우에는 표준국어대사전의 뜻풀이를 따르는 것이 가장 무난한 방법이라 생각한다. 그 내용의 타당성 여부는 차치하고서라도, 국가 기관에서 발간한 최초의 국어사전이므로 공적인 권위를 인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방송이나 각종 시험 등에서 표준국어대사전은 이미 '규범'으로 작용하고 있다.

내용출처 : [직접 서술] 직접 서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