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방

김대중 전 대통령님 생가를 찾아가다(1)

월정月靜 강대실 2009. 9. 6. 10:21
728x90

대한민국 제 15대 대통령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노벨상 수상자인 후광 김대중 전 대통령님의 생가를 찾아나섰다.

 

가는 길에 무안군 일로읍 복용리에 위치한 회산 백련지를 들렀다.  이곳은 일제의 암울했던 시대에 조상들의 피와 땀으로 축조된 저수지이다.
대부분의 저수지는 골짜기나 계곡을 막아서 축조하는 데, 회산백련지는 평야지대를 삽과 가래로 파서 둑을 쌓아 만든 저수지이다.

 

면적은 10만여평으로 두 개의 저수지가 합하여져 인근 250ha의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농작물의 젖줄 역할을 하였으나 영산강 하구둑이 건설된후 풍부한 농업용수가 공급되면서 사실상 농업용 기능을 상실하였다.

 

당시 저수지 옆 덕애 부락에는 6세대가 살고 있었는데 이 마을에 사는 주민이 우물옆 저수지 가장자리에 백련12주를 구해다가 심은후 그 날밤 꿈에 하늘에서 학12마리가 내려와 앉은 모습이 흡사 백련이 피어있는 모습과 같아 그날 이후 매년 열과 성을 다해 연을 보호하고 가꾸었다 한다.

 

그런 정성이 헛되지 않았음인지 해마나 번식을 거듭하여 지금은 동양최대의 백련 자생지가 되었다.

또한 이 곳 마을이름이 회산(回山)으로 "온 세상의 기운이 다시 모인다"는 의미로 유래되고 있어 앞을 내다보는 옛 선현들의 높은 안목과 슬기를 엿볼 수 있다.

 

연꽃은 흙탕물 속에서 맑은 꽃을 피운다.

뿌리는 더러운 진흙탕에 두어도 더러움에 물들지 않고 맑고 깨끗한 꽃을 피우는 연꽃의 특성이 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과 같다고 하여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다.

                                                                                                                                                                          
                     이른 아침의 회산백련지
 

 

 

 

 

 

 

 

 

 

 

 

 

다음으로 목포로 가서 유달산에 올랐다.

 

유달산 (해발228m)은 한자로 선비 유(儒), 이를 달(達)을 써서 유달산이라고 쓰고 있지만 옛 문헌을 보면 여러가지로 표기되어 있다. 느릅나무 유(楡)를 쓰거나 놋쇠 유(鍮)를 쓰기도 했으며, 일제 때는 깨우칠 유(諭)를 쓰기도 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서 각기 다르게 쓰였지만, 목포시사가 생긴 후 무정 정만조 선생을 비롯하여 많은 유생과 시인 묵객들의 왕래가 잦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유달산의 명칭이 선비 유(儒)자로 바뀐것으로 보인다.

 

유달산의 또다른 이름은 '영달산'으로 영혼이 거쳐가는 곳이라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영혼이 심판을 받는다는 일등바위(율동바위), 심판을 받은 영혼이 이동한다는 이등바위(이동바위)도 있다. 영혼이 율동바위에서 심판을 받은다음 이동바위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극락세계로 가는데, 삼학도의 세 마리 학이나 고하도 용머리의 용을 타고 저승길을 간다는 전설을 품고 있기도 하다.

 

유달산은 신선이 춤을 추는 형국이라 하여 선인무수형국(仙人舞繡形局)이라고 한다. 목포여중 뒤편 언덕이 신선의 오른팔에 해당되고 유달산 새천년 시민의 종각이 있는 자리는 신선의 왼팔이 된다. 그러면 목포대는 북이고 삼학도는 가야금이 되는데, 신선이 가야금과 북을 치며 춤을 추고 있는 듯 하다.

 

목포팔경 중 제1경인 유달산은 140헥타르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호남정맥의 맨 마지막 봉우리이자, 다도해로 이어지는 서남단의 돌산으로 '호남의 개골산'이라고도 불린다.

 

                                  유달산권 관광안내도

                                 고하도권 관광안내도. 유달산권에 있는 주요 관광지 및 시설을 보여주고 있음. 목록은 어민동산, 이등바위, 일등바위, 유달산, 유달유원지, 낙조대, 국제여객선터미널, 연안여객터미널, 숙박지구, 오포대, 이훈동정원, 성옥기념관, 국도 2호선기점, 노적봉, 루미라에거리 목포역 등이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