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은 24절기의 스물두 번째인 동지(冬至)이며, 명절로도 지내는데 팥죽을 쑤어
먹고 달력을 나눠 가집니다. 동국세시기‘의 기록을 보면 동짓날을 ’작은 설‘, 즉
다음해가 되는 날이란 의미로 ‘아세 (亞歲)’라고 합니다.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있지요. 팥죽을 쑤면 먼저 사당에 올려 차례를
지낸 다음 방과 장독, 헛간 등에 한 그릇씩 떠놓고, 대문이나 벽에다 죽을 뿌립니다.
붉은 팥죽은 양(陽)의 색으로써 귀신을 쫓는다고 믿었습니다.
올해는 동지는 음력으로 11월 3일이어서 애동지(아기동지/오동지)입니다. 음력으로
동지가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하순에 들면 `노(老)동지'라고
하는데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지 않습니다. 애동지에 팥죽을 쑤어먹으면 아이들이
병이 나는 등 안 좋다고 생각하여 팥죽 대신 시루떡을 해먹지요.
동짓날 팥죽을 쑨 유래는 중국의 ‘형초세시기’의 이야기입니다. ‘공공씨’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전염병귀신이 되었다고 합니다.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전염병귀신을 쫓기 위하여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는 것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동짓날은 만물이 회생하는 날'이라고 하여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했다고
하고, 고려와 조선 초기의 동짓날에는 어려운 백성들이 모든 빚을 청산하고, 새로운
기분으로 하루를 즐기는 풍습이 있었습니다. 왕실에서는 한 해의 시작으로 보고 새해
달력을 나누어주었는데 이러한 풍속은 단오에 부채를 주고받는 것과 같이 ‘하선동력
(夏扇冬曆)’이라 하였지요. 또 제주목사는 귤을 임금에게 진상하였고, 이 귤을 종묘에
올린 다음 나누어주었고, 이를 기쁘게 여겨 임시로 ‘황감제’란 과거를 실시했습니다.
'15. 알곡 창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돈의 유래와 호칭 (0) | 2007.01.26 |
---|---|
[스크랩] 발신지 전화 걸려올때 번호 알아내는 방법 (0) | 2006.12.29 |
조선 여류문인 강정일당을 아시나요 (0) | 2006.12.21 |
[스크랩] 여자가 꼭 먹어야할 12가지 (0) | 2006.12.19 |
갈까부다 (0) | 2006.12.13 |